정보처리기술사를 위한 예비기술사, IT 분야 Manager Level에 해당하는 관리자와 실무자 분들을 위해 각 분야 전문가가 집필하였습니다. 필자는 여러 전문기술사님과 같이 ICT의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약 11년 동안 KPC기술사회(http://cafe.naver.com/81th)를 여러 기술사님들과 공동 운영하면서 축적한 IT경험과 지식을 [정보처리기술사 이론과 전략]에 모았습니다. 특히, 매년 기술사 시험에 약 1천 예비기술사분들이 응시하면서 평균 1차 합격률 5%, 2차 합격률 60%의 치열한 시험 현장에서, 예비기술사님들이 ‘그래, 이거다!’라고 말할 수 있는 합격을 위한 Best Practice가 될 수 있도록 구성 하였습니다.
IT강국 대한민국은 수많은 IT 기술 분야, 다양한 컨텐츠, SW를 바탕으로 진화 발전하는 국가입니다. 수많은 전문 분야에서 특히 IT 정보처리 업무의 효율을 높이고,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인력양성 목적으로 1974년 신설된 정보처리기술사는, 2012년 정보관리와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로 분리되었습니다. 정보관리기술사와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로 운영되는 IT 기술사 시험은 1년에 2회(매년 2월과 8월)에 시행되는 국가기술시험입니다. 국내외 모든 IT 분야 지식과 경험을 총망라하는 국가기술시험으로써, 최종 합격 시 높은 긍지와 많은 사회적 기회가 뒤따릅니다.
이 책을 통해 척박한 대한민국 IT에 종사하는 우리들이 급변하는 IT 분야에서 단단한 기둥이 되는 지식 Framework를 구축하고, 본인의 다양한 현장 경험이 배가, 축적되면 IT 분야의 당당한 Leading Hitter로서 새로운 오아시스를 만들 것을 확신합니다.
[정보관리기술사와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를 위한 실전 멘토링, 정보처리기술사 이론과 전략] 4번째 개정판에는 각 도메인별로 중요한 토픽 분야를 추가 보완하였으며, 많은 IT 분들께서 책에 대한 조언과 개선사항을 적용하였습니다.
3판에는 도메인에 대한 기출문제와 출제 예상문제를 보완했다면, 4판은 2016년도 최근 기술사 문제에 맞게 정보관리기술사,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시험 커버리지를 모두 가져갈 수 있도록 도메인별 분리 및 통합, 개선하였습니다.
KPC 기술사회(http://cafe.naver.com/81th)는 IT 기술사의 전체 합격자 중에서 약85%를 배출하고 있는 국내 최고의 기술사커뮤니티입니다. 한정된 지면에서 못한 표현은 포털 커뮤니티를 통해 항상 친절한 설명 및 질문사항, 책의 오류 및 더욱 다양한 분야에 쉽게 접근 하실 수 있습니다.
* 목차 – 각 9권 도메인 구성 소개
도메인1. IT 경영 전략(Information Technology Management Strategy)은
효율적인 IT 기업 경영을 위하여 IT 전략, 정보시스템, 프로세스, 서비스, 비즈니스 연속성, IT 정책에 대한 대내외 환
경 여건에 맞는 의사결정 및 효율적인 IT 관리를 위한 이론 및 관리 기법을 설명합니다. 현재 FinTech, 인터넷전문은
행 등을 포함하여 특히 경영 전략에서 사용하는 전문 전략 및 용어들은 나머지 전체 도메인에 필수적인 인프라가 될
것입니다.
도메인2. 소프트웨어공학과 프로젝트관리는
사용자 요구사항에 부합하며 고객이 기대하는 품질을 충족하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목표로 하는 도메인으로서, 이론적인 SDLC, SW 개발방법론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의 각 단계별 분석, 설계, 구현, 테스트, 릴리즈, 운영 및 유지보수의 각 Phase별 공정과 PMBOK를 기반으로를 실무자에게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상세한 지식을 제공합니다.
도메인3. 디지털 서비스(Digital Service)는
IT(Information Technology) 및 디지털 기술의 컨버젼스를 통하여 산업간 선순환 구조를 이루고 유비쿼터스 사회를
구현하는 신성장 서비스 분야입니다. 현재 국내외의 신기술인 Web 3.0, Semantic Web, Cloud Computing, Digital
Convergence, 스마트 카, 드론, O2O 서비스 등의 디지털 서비스 근간 기술을 제공합니다.
도메인4. 디지털 네트워크(Digital Network)는
네트워킹의 유무선 네트워크 기본 지식부터 현재 널리 사용중인 4, 5세대 이동통신 기술을 통하여 차세대 네트워킹 기술인,IPv6, Mobile IP,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ing, NGN, 스마트 홈, SDN, NFV, Openflow의 네트워크 신기술을 소개합니다.
도메인5. 디지털 보안(Digital Security)은
기업 정보, 각종 컨텐츠, 개인정보 등의 보호와 정상적인 접근 제어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본적인 암호화 알고리즘, 보안 표준을 포함하여 정보화의 역기능을 소개하고, DDos, 악성프로그램, APT 공격, 해킹 등의 공격으로부터 효율적인 방어를 위한 ESM을 포함한 관리적, 물리적, 기술적 보안 방안을 소개합니다
도메인6. 데이터베이스(Database)는
데이터의 독립성, 무결성, 동시성 제어를 통한 데이터베이스의 이론 확보와 정규화를 포함한 DB 모델링, DBMS 운영 및 관리, DB와 밀접하게 연동해서 사용하는 OLAP, DW 등의 시스템 응용, 각종 DB 유형, 기업의 데이터 품질 확보를 위한 DQM, 빅데이터, 스마트데이터, DB와 암호화 융합기술 등 최근 이슈 등을 자세하게 다룹니다.
도메인7. CA(Computer Architecture)와 OS(Operating System)는
정보관리기술사와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를 위한 실전 멘토링, 정보처리기술사 이론과 전략을 공부하시는 분들에게는
꼭 필요한 토픽만,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를 준비하시는 분들에게는 최근 가장 많이 출제되는 도메인이 되었습니다.
CA는 CPU, 병렬처리, 디지털논리회로, 주기억장치, 캐시, 제어 장치가 빈출되며, OS는 프로세스, CPU/Disk 스케줄링이 필수 토픽들입니다.
도메인8. 자료구조, 알고리즘, 인공지능은
자료구조는 B-tree를 비롯하여, Hash 함수, 각 Tree가 빈출되며, 알고리즘은 탐색알고리즘, 각종 정렬(버블, 퀵)이 가장 많이 빈출되며, 인공지능(AI) 도메인은 2016년도 바둑 일인자 알파고의 영향 등으로, 기계학습, 딥러닝, 퍼지이론, 인공신경망, 전문가시스템 등이 유망한 출제 토픽들입니다.
부록. ITPE와 합격전략 부분은
위 8개 대분류 도메인을 이용하여 IT 기술사(IT Professional Engineer)의 합격 방법론을 자세히 소개하고, 시험에 적용하는 기술, 더불어 1, 2차로 이어지는 기술사 시험에 최종 합격을 위한 효율적인 기술사 합격 전략을 소개합니다.
기타사항
1,903페이지, 4x6배판
가격
98,000 원
중독상담전문가
요약내용
* 책소개
이 책은 중독의 개념 및 이론, 특징과 사례들을 알기 쉽게 설명하여 중독에 관심 있는 일반 독자들이나 대학생들이 이해하기 쉽게 쓰여 졌다. 또한, 여러 가지 검사를 활용하여 정확한 중독평가를 내릴 수 있도록 개념 및 검사방법, 상담 방법들과 재발방지를 위한 예방교육 등 중독상담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필요한 교육교재로 활용될 수 있다.
* 저자 및 역자 소개
- 서경현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Ph.D. 심리학박사
- 정구철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Ph.D. 교육학박사
- 정성진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Ph.D. 심리학박사
* 목차
1.중독의 이해
1장 - 중독의 개념
2장 – 중독에 관한 이론들
3장 – 중독의 특징
4장 – 물질중독의 이해
5장 – 행위중독의 이해
2.중독평가
1장 – 심리평가의 이해
2장 – 중독의 특성과 과정
3장 – DSM5를 활용한 중독평가
4장 – 심리검사를 활용한 중독평가
5장 – 중독평가의 실제
6장 – 중독예방을 위한 평가의 활용
* 책속으로
205페이지 – 1. 중독 가족상담의 개념과 필요성 中
- 중독은 개인의 문제만이 아니라 가족의 문제이다. 가족원 한 명이 중독에 빠지면 가족 전체가 심각한 영향을 받는다. 중독자 가족은 가족원의 중독문제와 관련된 책임감과 죄책감, 그리고 그로 인해 낮아진 자존감을 경험한다. 그리고 중독자 가족을 두고 있다는 수치심이 사회에서 위축감을 갖게 한다. 그런 위축감을 느끼지 않기 위해 중독 문제를 부인하고 중독에 의해 생긴 결과에 대한 인식을 억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심리적 문제가 부적응적 결과를 낼 수 있다.
가족이 한 개인의 중독으로부터 부정적인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가족이 가족 구성원의 중독이 지속되거나 더 악화되게 만들 수 있고, 치료되거나 회복되는데 영향을 줄 수도 있다. 개인의 중독과 가족간의 관계는 양방향적 관계이며 상호 순환적 관계이다. 따라서 가족구성원의 중독에 의해 생긴 가족의 문제를 중재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가족의 기능을 이용해 가족원 개인의 중독을 치료할 수 있다.
중독에 개입하는 여러 기관들이 중독자 가족에게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중독자는 물론 그 가족들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일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도 중독을 중대할 수 있는 지역사회 자원이 계속 증가하고 있지만 중독자를 치료하는데 가장 좋은 자원은 가정에 있다. 우리나라처럼 가족주의 전통이 강한 사회에서 가족은 중독문제의 일차적 피해대상이자 문제에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 머리말
- ‘중독’이라는 표현은 요즘 쉽게 접할 수 있다. 알코올 중독, 마약 중독 같은 화학물질에 대한 중독은 물론, 인터넷 중독, 도박 중독, 성형 중독 같은 행위에 대한 중독까지 그 종류도 다양하다. 국어사전에는 중독이 ‘술이나 마약따위를 계속적으로 지나치게 복용하여 그것이 없이는 생활이나 활동을 하지 못하는 상태’(Daum 사전). 영어사전에는 addiction(중독)이 ‘being abnormally tolerant to and dependent on something that is psychologically or physically habit-forming (especially alcohol or narcotic drugs)’ 즉 ‘심리적 혹은 신체적으로 습관을 형성시키는 무엇인가에 비정상적으로 내성이 생기고 의존하게 되는 상태’라고 정의되어 있다.(Daum 사전), addiction은 ‘~에 사로 잡히다’, ‘~의 노예가 되다’라는 뜻의 라틴어 ‘addicere’에서 유래됐다고 한다(박상규 등, 2011). 즉 중독이라는 말에는 중독 물질이나 중독 행위에 사로 잡혀 자신의 의지로는 벗어나기 힘들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기타사항
231페이지, 국배판
가격
15,000 원
한국의 소매업태 및 업종별 유통경로
요약내용
* 책소개
이 책은 한국 사회에서의 유통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소매 업태와 업종별 유통경로 두 파트로 나누어 알기 쉽게 기술하였다. 소매 업태는 14개 분야로 구분하여 오프라인에서는 백화점, 대형마트, 편의점, 슈퍼마켓, 전통시장 등과 함께 비교적 많이 다루어지지 않고 있는 아울렛, 복합쇼핑몰, 다단계판매 등을, 온라인에서는 TV홈쇼핑, 온라인 쇼핑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업종별 유통경로는 수많은 제품군 가운데 18개의 제품군을 선정하여 일용소비재(가공식품, 생활용품 등), 내구소비재(자동차, 가전제품 등), 의약품 및 한약,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 보험상품 등 우리들의 일생생활에서 빈번하게 접하는 제품군을 선정하여 각각의 유통경로를 기술하였다.
* 저자 및 역자 소개
저자는 서울대학교 경제학부에서 학사 및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인디아나 대학교 (Indiana University)에서 마케팅 전공으로 경영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귀국 후 제일기획 마케팅연구소에서 3년 간 근무하면서 마케팅전략, 광고전략, 다이렉트마케팅전략 등과 관련한 업무를 수행하였으며, 1995년부터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객관계관리, 영업, 유통, 소비자행동 등이다. 저서로는 우리나라 최초의 CRM 서적인 데이터베이스마케팅(1996)을 비롯하여 금융기관의 데이터베이스마케팅(1999), 모바일마케팅(2002),한국적 CRM 실천방안(2005), 고객관계 구축을 위한 영업관리 (2012), 고객관계관리(2014) 등이 있으며, 국내외의 유명 학술지에 CRM, 영업, 유통, 광고, 소비자의사결정 등을 주제로 하는 다수의 학술논문을 발표하였다. 1995년 이래 금융, 제조, 서비스 등 다양한기업들에서 CRM과 마케팅 분야의 자문교수 및 사외이사를 역임하였다. 또한 한국CRM협회의 초대 회장과 한국CRM학회의 회장을 지냈으며, 현재는 한국영업관리학회 회장직을 맡고 있다.